-
분산 웹 캐시 (Wcache)의 개선과정 - Part 2
Overview Part 1: 분산 웹 캐시에서는 카카오의 트래픽을 처리하고 있는 Wcache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하였습니다. 이전 버전의 Wcache는 기본적으로 준수한 응답속도를 보이고 있었지만, metadata를 집중된 DB에 저장하는 방식 및 기타 구조상의 문제로 인한 성능 안정성 문제, 그리고 기능상의 문제들이 잠재되어 있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이전 버전의 Wcache에서 어떠한 구조적 문제가 있었는지, 또한 이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를 다룹니다. Part 2: Wcache 저장 구조 변경 저장 구조 변경 - 성능 안정화 기존 BigFile 저장방식의 문제점 이전 포스트에 나와있듯이 Wcache는...
-
분산 웹 캐시 (Wcache)의 개선과정 - Part 1
Overview 웹 서비스의 규모가 커지고 이용자의 수가 늘어날수록 서비스 제공자는 scalability 이슈에 직면합니다. 그중에서도 실제 ‘로딩 속도’의 차이를 느끼게 해 주고 트래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정적 컨텐츠의 신속한 제공은 서비스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곤 합니다. 이런 수많은 컨텐츠들(Javascript, css, image 등)을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하며 컨텐츠를 임시로 저장하는 Middlebox를 웹 캐시(web cache)라고 합니다. 웹 캐시의 기능은 Apache Traffic Server, Nginx, Squid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대량의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 형태의...
-
카카오 신입 공채 1차 코딩 테스트 문제 해설
‘블라인드’ 전형으로 실시되어 시작부터 엄청난 화제를 몰고 온 카카오 개발 신입 공채. 그 첫 번째 관문인 1차 코딩 테스트가 지난 9월 16일(토)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장장 5시간 동안 온라인으로 치러졌습니다. 지원자들의 개발 능력을 잘 검증하기 위해 출제 위원들이 한 땀 한 땀 독창적이고 다양한 문제들을 만들어 냈고 문제에 이상은 없는지, 테스트케이스는 정확한지 풀어보고 또 풀어보며 만반의 준비를 기했습니다. 먼저, 가장 궁금해하실 1차 합격 기준부터 알려드립니다. 1차 합격 기준은 총 7 문제 중 4 문제 이상을...
-
kakao의 오픈소스 Ep8 - hbase-packet-inspector
hbase-packet-inspector 이번에 카카오에서 오픈소스로 공개한 hbase-packet-inspector (이하 HPI) 는 HBase 리젼서버의 네트워크 패킷을 분석해 요청과 응답 정보를 추출하는 툴입니다. 기존의 모니터링 툴을 통해서는 알 수 없었던 보다 상세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왜 이런 툴이 필요했는지 이야기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배경/동기 카카오와 다음의 많은 서비스들은 HBase 를 중요한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개별 서비스는 각각 독립적인 HBase 클러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그러다 보니 실제 운영 중인 HBase 클러스터는 수십...
-
카카오 코드 페스티벌 본선 이야기
드디어 본선의 막이 열렸습니다! 지난 9월 9일 토요일, 카카오 코드 페스티벌의 오프라인 본선이 진행됐습니다. 예선에서의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당당히 본선에 진출한 100여명의 실력자들이 함께 했는데요. 합병 후 카카오의 첫 개발자 행사인 만큼, 처음이라는 설렘을 담아 구석구석 정성스러움을 가득 담아 대회를 준비했습니다. ▶ 행사 후기가 궁금하시다면? 코드 페스티벌의 핵심인 문제도 정말 열심히 준비했습니다! 참가자들도 “문제 모티브가 재미있어 다른 대회보다 더 즐기는 마음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셨는데요, (이런 피드백 무한 감사, 정말 힘이 납니다!) 본선에...